집단상담의 기초개념들
집단 (Group)
상호 의존적 관계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2인 이상의 상호 독립적인 개인들의 집합체
<집단>의 대표적인 5대 조건
심리적 유의성, 직접적 의사소통, 유의한 상호작용, 역동적 상호관계, 생산적 상호의존
심리적 유의성 Psychological significance
집단이 구성원 개개인에게 심리적으로 의미있게 작용해야 함을 의미
자기지도 Self-guidance
집단이 심리적 유의성을 갖추려면, 집단원이 적어도 자기지도능력을 갖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야 함. 여기서 자기지도 능력이란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정도로 지적 수준과 정신상태(mental status), 그리고 기본적인 위생관리를 스스로 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
직접적 의사소통 Direct communication
다른 사람을 통하지 않고 당사자들간 면대면(face to face) 음성·비음성 언어를 주고 받는 것
유의한 상호작용 Significant interaction
2인 이상 사람이 의미있는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상호교류.
* 이러한 심리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려면, 구성원들 간 공유된 정체감(shared identity)과 '우리라는 집단의식'(we-ness)이 있어서 구성원들이 어떤 구분된 전체에 속해있다는 느낌을 가질 때 가능해짐
역동적 상호관계 Dynamic interrelation
구성원들 사이에 힘과 에너지가 교류되고 형성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상태. 역동적 상호관계는 집단원 개개인이 자신이 속한 집단 내에서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기반으로 탄탄해짐
생산적 상호의존 Productive interdependence
집단참여를 통해 의사결정, 문제해결, 잠재력 개발 혹은 변화, 성장 등과 같은 생산적인 산물 혹은 성과가 있어야 함을 의미
*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y)은 독립성이 발달되기 전에 습득해야 하는 필수적인 과업이며,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할 줄 아는 사람을 성숙한 인간이라고 말함.
<집단>의 대표적인 5대 조건
심리적 유의성, 직접적 의사소통, 유의한 상호작용, 역동적 상호관계, 생산적 상호의존
상담집단 Counseling groups
개인적, 교육적, 사회적, 직업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며, 치료적, 예방적, 교육적 목표 달성을 위해 집단역동과 과정을 활용하는 집단
AGSW
미국의 집단작업전문가협회(Association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1992)의 준말.
이들에 따르면 상담집단이란 집단원들이 서로에 대한 지지를 통해 흔히 어렵게 여길만한 일상적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 구성된다고 함
여기 지금
집단원들의 평소 대인관계 문제를 집단에서 가장 생생하고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 여기-지금에 초점을 맞추면 집단원 각각이 갖고 있는 대인관계 문제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것이 어떤 양상을 갖고 있는지, 그 결과가 무엇인지를 아주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검토가능함.
치료집단 Therapy groups
상담집단에 비해 보다 심각한 정도의 정서행동 문제나 정신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어, 입원(inpatient setting)이나 외래(outpatient setting)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집단. 이 때 심각한 문제란 우울, 분노, 불안, 공포 또는 심리신체증상(psychosomatic symptoms)을 동반하는 수준.
섭식장애 Eating disorders
거식증과 폭식증으로 구분. 거식증이란 식사를 거부하는 증세로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라고도 하고, 폭식증은 신경성 대식증이라고도 하는데, 이 두 종류의 섭식장애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 거식증은 체중감소가 특징이며, 살찌는 것에 대한 걱정과 공포를 가지고 있고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이라는 왜곡된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체중을 줄이기 위해 식사를 제한하거나 먹고 나서 인위적으로 토하는 등의 행동을 함. 섭식장애는 치료집단을 필요로 하는 주요 대상 중 하나. 성격재구성(reframing)
7가지 집단(상담, 치료, 교육, 성장, 과업, 자조, 지지집단) 중에서 치료집단을 다른 유형의 집단과 특별히 구별되게 만드는 특징으로, 치료집단은 과거사(past history)와 함께 성격재구성이라는 치료방법을 사용.
교육집단 Educational groups
치료적 측면보다는 주로 정의적, 인지적 측면의 정신건강 교육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 집단.
심리교육집단 Psych-educational groups
교육집단의 일반적인 명칭.
생활지도집단 Guidance groups
교실생활지도집단(classroom guidance groups)이라도고 불리우며, 교육집단의 학교 장면에서 쓰이는 말
성장집단 Growth groups
다양한 집단활동의 체험을 원하거나 자신에 대해 좀 더 알기를 원하거나, 자신의 잠재력 개발에 관심있는 사람들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구성된 집단으로 크게 훈련집단, 참 만남집단, 마라톤집단 등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됨.
훈련집단 Training groups
성장집단의 세부유형으로, 집단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대인관계에서 감성 혹은 민감성(sensitivity)을 높이는 한편, 인간관계 기술을 신장시키기 위해 고안된 집단
T집단
훈련집단의 줄임말
감수성훈련집단 Sensitiveness training group
훈련집단의 다른 말
실험훈련집단 Experiment training group
훈련집단의 또 다른 말
참 만남집단 Encounter groups
성장집단의 세부유형이며, 모든 장면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훈련 형태에서 발전된 집단. 인간중심치료의 창시자 칼 로저스(Carl Rogers)가 주도한 집단의 형태. 일치성(genuineness)과 진정성(authenticity)을 강조
마라톤집단 Marathon groups
성장집단의 세부유형이며 며칠동안 연이어 회기를 가짐으로써 참여자들의 방어를 감소시키고, 친밀감을 창출하여 보다 집중적(intensive)이고 심화된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인간적 성장을 꾀하기 위한 집단.
경험적 접근
성장집단의 대표적 3대 유형인 훈련집단, 참만남집단, 마라톤집단은 공통적으로 집단참여자들에게 구체적 활동을 통해 직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경험적 접근 혹은 체험적 접근이라고 함.
경험집단 Experiential groups 성장집단의 하위 유형
개인성장집단 Individual growth groups 성장집단의 하위 유형
인간성장집단 Human growth groups 성장집단의 하위 유형
자아성장집단 Personal growh groups 성장집단의 하위 유형
신체자각집단 Body awareness groups
성장집단의 하위 유형으로 움직임과 자발적 춤을 통한 신체적 깨달음과 표현을 강조
신체동작집단 Body movement groups 성장집단의 하위 유형
* 대중적인 집단의 형태로 자리잡은 성장집단은 인간관계 기술을 강조하며, 명칭이 다양하지만 집단의 근본적 특성은 크게 다르지 않음.
과업집단 Task groups
특정과업을 완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는 집단.
NTL
미국 국립훈련실험소(National Training Laboratory)의 줄임말. 기업체와 산업체 내 집단들의 역동을 이해하기 위해 과업집단을 최초로 시도
자조집단 Self-help groups
스스로 돕는 집단, 즉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전문가들이 돕기에 한계가 있는 문제를 지닌 이들을 위한 집단 (예. 물질오남용, 체중조절 weight control)
물질오남용 Substance abuse
자조집단의 전형적인 문제. 이러한 심각하고 개별적인 문제가 함께 모인 자조집단은 다른 유형에 비해 응집력이 쉽게 높아짐
AA
알코올 중독자 익명집단(Alcoholic Anonymous)의 줄임말로,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대표적 사례
NA
마약중독자 익명집단(Narcotics Anonymous)의 줄임말로,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대표적 사례
Twelve Steps
'12단계'란 뜻으로, 줄임말은 TS. 알콜중독 치료로부터 비롯된 12단계의 치료법
SAA
성중독자 집단(Sex Addicts Anonymous)의 줄임말로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사례
Recovery, Inc.
현재와 과거의 정신질환자 모임으로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사례
Weight Watchers
체중조절집단으로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사례
구조화집단 Structured groups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련의 구체적인 활동으로 구성되고, 정해진 계획과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집단의 형태
비구조화집단 Unstructured groups
사전에 정해진 집단활동이 없고, 구성원 개개인의 경험과 관심을 토대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집단의 치료적 효과를 얻고자 하는 집단의 형태
반구조화집단 Semi-unstructured groups
비구조화 집단의 형태를 토대로 운영하되, 필요할 때마다 구조화 집단에서 활용되는 활동을 이용하는 식으로 혼합된 집단의 형태
개방집단 Open groups
집단회기가 시작되는 동안 기존으 구성원이 집단을 종결하거나 결원이 생기면 새로운 구성원이 들어올 수 있는 집단의 형태
폐쇄집단 Closed groups
특정한 구성원 수로 집단이 구성되어 일단 집단이 시작되면 새로운 구성원이 참여할 수 없는 집단의 형태. 집단리더 입장에서는 비교적 운영이 수월하다.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비교적 심각한 정신장애가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집단기술, 기법, 그리고 전략을 적용하여 구성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역동적인 상효교류 과정을 통해 즉시성(immediacy)에 초점을 맞추고 문제해결, 의사결정 또는 인간적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
소우주(microcosm)
'심리학 노트 > 집단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상담보다 개인상담이 적합한 내담자 특성은 무엇일까? (0) | 2016.03.20 |
---|---|
개인상담과 비교할 때, 집단상담의 장점과 강점은 무엇인가? (0) | 2016.03.20 |
집단 유형에 따른 목표를 기술한다면? (0) | 2016.03.20 |
2인 이상의 모임이 의미있는 집단이 되기 위한 조건 다섯가지 (0) | 2016.03.20 |
집단상담 공부를 위한 교재, 부교재, 참고도서 등 (0) |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