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 lo sai  당신은 알고 있네

Giuseppe Torelli 




Tu lo sai Quanto t'amai tu lo sai, lo sai, crudel!

Io non bramo altra mercè

Ma ricordati di me,

E poi sprezza un infedel, e poi sprezza un infedel


Tu lo sai Quanto t'amai tu lo sai, lo sai, crudel!

Tu lo sai Quanto t'amai tu lo sai, lo sai, crudel!

Tu lo sai Quanto t'amai tu lo sai, lo sai, crudel!



Tu lo sai  Quanto  t'amai    / You know how much I have loved you

tu lo sai, lo sai, crudel!       / You know it, cruel one!

Io non bramo altra mercè   /  I desire no other favor

Ma ricordati di me             /  But that you think of me

E poi sprezza un infedel    /  And then spurn an unworthy one


알고 있네 사랑하는 지 

알고 있네 냉정한 사람

바라지 않네 친절한 마음

하지만 날 기억해

멸시하네 부정한 자







주세페 토렐리 (17세기 이탈리아 남자, 작곡가)


1658년 4월 22일 이탈리아 북부 중세도시 베로나(Verona)에서 태어나고 1709년 2월 8일 이탈리아 북부의 볼로냐에서 죽었다. 이탈리아 북부 내륙의 대학도시 볼로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볼로냐 대학>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탈리아 전성기 바로크 음악의 작곡가이며 바이올리니스였던 주세페 토렐리는「합주 협주곡집 작품 8,트럼펫 협주곡,트럼펫 소나타로 유명하다. 볼로냐에서 자코모 안토니오 페루티에 사사하였다. 


1684년 6월 27일에 볼로냐 아카데미아 필아르모니카의 회원이 된다. 1685년에서 1695년까지 볼로냐 산 페트로니오 성당의 지휘자를 맡아 1697년에서 1699년까지 브란덴부르크 - 안스바흐 변방 백작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2세의 궁정악단에서 보냈다.


San petronio, bologna, 11

볼로냐 산 페트로니오 성당 San petronio, bologna





+ 바로크 음악

17~18세기 유럽 음악이다. 원래 17~18세기 미술양식을 '바로크 양식'이라고 했는데, 음악에 대해서도 통칭으로 쓰이고, 특히 1600년경부터 1750년경까지의 음악이 이에 해당된다.  의


초기 바로크: 1580년-1630년

중기 바로크: 1630년-1680년

후기 바로크: 1680년-1750년 (로코코로 넘어감)


바로크 음악의 역사적 배경은 정치적으로는 절대주의 왕정으로부터 계몽주의로 이행을 볼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중상주의, 정신사적으로는 합리주의적·계몽주의적인 사조의 흐름 속에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여러 사회적 상황이 몇 겹으로 겹쳐서 궁정,도시,교회 등 세 활동범위를 기초로 하여 바로크 음악을 형성했다.


이 시대의 음악은 통주저음의 기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바로크 음악의 시대를 '통주저음의 시대'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바로크 음악은 '정서론' 즉 '음악의 궁극목적은 음과 음의 리듬, 멜로디, 하모니, 음정 등으로 모든 정서를 자아내는 데 있다'고 하는 독특한 타율적 미학관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 통주저음 通奏低音 = 숫자표저음 - 주어진 숫자가 딸린 저음 위에 즉흥적으로 화음을 보충하면서 반주 성부를 완성하는 기법




Posted by 편집장 슈렉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