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요한 23세의 회칙


지상의 평화 Pacem In Terris  

1963.4.11


진리, 정의, 사랑, 자유를 토대로 하는 모든 민족들의 평화에 대하여


사도좌와 더불어 평화와 일치를 누리는 존경하는 형제들인 총주교, 수석주교, 대주교, 주교, 그 밖의 지역 직권자들에게 가톨릭 세계의 모든 성직자와 신자들에게 그리고 선의의 모든 사람들에게 보내는 회칙


이용훈 신부 번역

차례.

머리말 ... 하느님의 질서와 세상의 질서

머리말 ... 인간의 질서

제1부 공동생활의 질서 (인간의 품위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1. 인간의 권리들  2. 인간의 의무들

제2부 각 정치 공동체 안에서이 인간과 공권력 간의 관계

제3부 정치 공동체들간의 관계

제4부 인간과 정치공동체들의 세계 공동체에 대한 관계

제5부 세계의 평화를 이룩하는 가톨릭인들

결론

거대한 과제: 평화의 건설

평화의 군주




총 7파트, 172항으로 구성


A4용지 약 40쪽 내외 분량인 이 '회칙'은 총 172항으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파트로 구분하자면 머리말과 결론부가 있고, 본문 내용으로 총 5개 파트로 나눠져 있다. 


머리말은 선언적으로 이 세상의 평화를 이루기 위한 질서가 '하느님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에 인간의 질서는 하느님의 질서를 발견하고, 하느님의 질서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릇된 견해로 비롯된 탈선을 경계하자고 말하는 것이다. 하느님께서 인간의 본성 안에 새겨주신 법에 따르자는 선언이다.


그리고 5개의 파트는 결론적으로 '공동체의 질서'에 대한 내용이다. 인간이 권리와 의무가 인간의 존엄성을 상호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성립되어야 하는 데, 그것은 인간이 하느님의 자녀이며 벗이기때문에 그러하다는 것이다. 특별하게 이 <지상의 평화> 회칙은 '정치적' 관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정치를 말하자면 '권력' 달리 말해 '공권력'의 사용에 대한 하느님의 관점이 왜 작동되어야 하는 것인지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점증적으로 공동체의 관계를 확대하면서 설명하는 것이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된 본문 내용이 되겠다. '인간의 품위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제1부는 공동생활의 질서를 말하고 있으며, 제 2부에서는 개별적인 각 정치 공동체 안에서의 인간과 공권력 간의 관계를 조명하고 있다. 그리고 제 3부에서는 앞선 제2부에서 인간 대 공권력의 디테일을 설명하면서 해당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작동하는 지에 대한 개별적 설명이었다면, 그러한 개별 공동체들이 상호 관계하고 정치공동체들간의 관계를 말하고 있다. 따라서 더욱 확장된 설명이 제 4부에서 이뤄진다. 즉 인간과 정치공동체들의 세계 공동체에 대한 관계에 대한 설명이 그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정치공동체의 평화를 이룩하는 사람들의 의무를 강조한 것이 제5부의 설명이 된다. 다시 말해서 세계의 평화를 이룩하는 가톨릭인들의 의무와 참여를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좀 더 자세하게 목차를 풀어써본다. 


차례.

머리말 ... 하느님의 질서와 세상의 질서

머리말 ... 인간의 질서


제1부 공동생활의 질서 (인간의 품위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1. 인간의 권리들  

생존과 품위있는 생활수준에 관한 권리 | 윤리적이고 문화적인 가치에 관한 권리 | 종교 자유에 관한 권리 | 신분 선택의 자유에 관한 권리 | 경제적 문제에 속하는 권리 | 집회와 결사의 권리 | 이주와 이민의 권리 | 정치 참여의 권리

2. 인간의 의무들

한 인간의 권리와 의무 | 여러 인간들 사이의 권리와 의무 | 상호 협조 | 책임의 자세 | 사회 생활의 기초 | 하느님과 윤리질서 | 현대의 경향


제2부 각 정치 공동체 안에서이 인간과 공권력 간의 관계

권위의 필요성과 신적 기원 | 공권력의 목적은 공동선의 실현 | 공동선의 본질적 요소 | 공권력의 책임과 인간의 권리와 의무 | 인간의 권리와 의무를 조정하고 보호해야 | 인간의 권리를 증진시킬 의무 | 공권력의 두 가지 활동간의 균형 | 공권력의 구조와 기능 | 법적 기구와 윤리적 질서 | 공적 생활에 대한 국민의 참여 | 현대의 경향


제3부 정치 공동체들간의 관계

공동체는 권리와 의무의 주체 | 진리 안에서의 관계 조정 | 정의에 입각한 관계 조성 | 소수 민족들에 대한 처신 | 활동적 연대 관계 | 인구, 토지 및 자본 간의 균형 | 정치적 망명자들 | 무기와 무장 해제 | 자유에 대한 관계 | 경제 개발단계에 있는 정치공동체들 | 현대의 경향


제4부 인간과 정치공동체들의 세계 공동체에 대한 관계

정치 공동체들간의 상호 의존 | 공권력 조직의 현실적인 불충분함 | 국제적 공권력의 필요성 | 세계적 공권력의 설정 | 세계적 공동선과 인간의 권리들 | 보조성의 원리 | 현대의 경향


제5부 세계의 평화를 이룩하는 가톨릭인들

공적 생활에 참여할 의무 | 현대 문명에 참여 | 과학적, 기술적, 직업적 요소들과 영적 가치의 종합으로서의 활동 | 진사들의 종교적 신앙과 현세적 활동의 괴리 | 젊은이들에 대한 종교 교육 | 항구한 노력 | 가톨릭 신자와 비가톨릭인들과의 협력 | 점진적 활동


결론

거대한 과제: 평화의 건설

평화의 군주


Posted by 편집장 슈렉요한
,